평소 화장실에서 볼일을 보고 난 이후 변기를 보고 나니 소변이 진하면서 거품이 많이 발생했다면 질환을 의심해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어떤 질환이 있는지 매우 상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단백뇨란?
단백뇨는 혈액의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설되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소변에 거품이 생기는 이유 이기도합니다.
거품은 단백뇨 이외의 다른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지만 소변에 단백질이 많을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단백뇨는 하루에 300mg 이상의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설되는 경우 단백뇨로 간주됩니다.
소변에 거품이 생기는 이유
1. 사구체성 질환
사구체 여과막은 혈액에서 노폐물을 걸러냅니다.
정상적인 사구체 여과막은 노폐물만 걸러내지만 기능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단백질이 소변으로 새어 나오면서 소변에 거품이 생기는 이유가 됩니다.
사구체 질환은 정상보다 더 많은 양의 단백질이 체내로 배설되도록 합니다.
단백뇨는 24시간 소변 검사를 통해 감지할 수 있으며, 소변 배출량 1g당 단백질 수치가 1-2g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루푸스 신염, 당뇨병성 신병증 및 IgA 신병증으로 인해 단백질이 체내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2. 요새관성 질환
일부 작은 단백질은 사구체 여과막을 통과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요세관으로 흡수됩니다.
이때 요세관이 손상되면 체내에 흡수되어야 할 단백질이 흡수되지 않고 소변으로 배설됩니다.
이 상태를 세뇨관 단백뇨라고 합니다.
또한 요세관 단백뇨의 경우 제안된 원인은 아미노산, 경쇄 면역글로불린 및 베타 2-마이크로글로불린입니다.
또한 세뇨관 단백뇨에 관여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것은 라이소자임과 알파-아미노산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24시간당 1그램 미만의 결과를 보이는 요단백 검사가 일반적입니다.
3. 과다유출 질환
과도하게 소변에 거품이 생기는 이유는 건강하지 못한 신장의 결과입니다.
미오글로불린, 헤모글로빈, 헤모단백질 및 면역글로불린의 과잉 생산으로 인해 단백질이 세뇨관에서 소변으로 누출될 때 발생합니다.
횡문근융해증은 증가된 미오글로불린 생산과 높은 헤모글로빈 수치로 인해 발생합니다.
마찬가지로, 골수종은 상승된 면역글로불린 수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소변에 거품이 있을 때 검사
1. 소변검사
반정량 소변 검사를 통해 소변으로 계산되는 알부민은 체내 단백질의 주성분을 확인합니다
사람의 소변 내 알부민 농도가 4% 이상이면 단백뇨로 간주하고 있으며 검사에는 1+, 2+, 3 또는 4+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소변이 농축되면 위양성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2.24시간 단백뇨 검사
이 검사 방법은 24시간 대기 후 소변에 거품이 생기는 이유를 확인하는 단백질을 측정하여 단백뇨의 총수준을 결정합니다.
사구체는 알부민과 같은 큰 단백질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일부 작은 단백질은 걸러지고 일반적으로 요세관에서 재흡수됩니다.
24시간 소변 샘플의 단백질 함량은 150mg 미만이어야 합니다.
적절한 수분 공급, 음식 섭취 및 소변 배출이 유지되는 경우입니다.
성인 소변의 단백질 함량은 일반적으로 여과된 혈장 알부민이 40%~60%이고 나머지 20%~40%는 요세관에서 생성되는 점액입니다.
추가 혈장 단백질 및 효소는 전체 단백질 함량의 5%를 차지합니다.
혈청 단백질의 또 다른 5%는 알부민입니다.
15%는 면역글로불린입니다
단백뇨가 정상기준 이상으로 검출된다면 정확한 원인파악을 위해 어떤 성분이 증가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혈액검사
소변에 거품이 생기는 이유를 확인한 환자의 경우 혈액 검사를 통해 신장 기능을 평가합니다.
이러한 환자들에게서 이미 신장 기능 저하가 관찰되기 때문입니다.
사구체 여과율은 혈액 내 요소 질소 농도와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를 측정하여 평가합니다.
단백뇨가 감지되면 환자의 혈액에 다양한 추가 검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는 혈당 검사에서 환자가 자가면역 질환이나 다른 질환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항체 검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단백질 전기영동 검사는 환자가 평소보다 더 많은 단백질을 생산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변에 거품 치료 방법
단백뇨가 저절로 사라진다는 것은 좋은 소식입니다.
이 자발적 해결은 기립성 단백뇨의 경우에 나타납니다.
그러나 사구체 질환은 단백뇨를 지속시킵니다.
단백뇨 수치가 높을수록 환자의 만성 신장 질환 위험이 증가합니다.
단백뇨를 치료하면 환자의 만성 신장 질환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또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는 치료제로 단백뇨를 낮추는 최초의 약물입니다.
혈압약으로도 쓰이기 때문에 단백뇨감소와 혈압강하작용이 동시에 있습니다.
이는 혈압과 단백뇨를 동시에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약을 복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정 SGLT2 억제제는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되었지만 단백뇨 치료 및 고혈압 감소에도 사용됩니다.
이러한 약물이 조절되지 않으면 환자는 원인에 따라 스테로이드 또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댓글